도이체 그라모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이체 그라모폰은 1898년 에밀 베를리너가 설립한 독일의 음반사로, 원반 레코드의 발명가인 베를리너의 베를리너 그라모폰사의 독일 지사로 시작되었다. 20세기 초반 엔리코 카루소, 넬리 멜바 등 유명 성악가들의 음반을 발매하며 레퍼토리를 확장했다. 1941년 지멘스에 인수된 후, 1987년 필립스가 최대 주주가 되었고, 1998년 유니버설 뮤직 그룹에 인수되었다. 도이체 그라모폰은 클래식 음악 음반 발매에 주력하며 CD 등 새로운 매체 도입에 기여했고, 아카이브 프로덕션을 통해 고음악을 발굴하는 등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해왔다. 현재 유니버설 뮤직 그룹 산하 레이블로서 클라우디오 아바도, 조성진 등 유명 지휘자 및 연주자들과 협업하고 있으며, 다양한 카탈로그 시리즈를 발매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양 고전 음악 음반사 - 런던 레코드
런던 레코드는 데카 레코드의 소유권 분할로 시작된 영국의 레이블로, 클래식 음반 발매와 미국 레이블 음반 배급을 거쳐 롤링 스톤스 등 유명 아티스트 발굴, 쿼드라포닉 사운드 기술 도입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Because Music Group의 일부이다. - 서양 고전 음악 음반사 - 아르모니아 문디
아르모니아 문디는 1958년 프랑스에서 설립된 클래식 음악 레이블로, 고음악과 바로크 음악을 중심으로 역사주의 연주에 기반한 음반을 제작하며 높은 품질의 음향과 제작 가치를 추구하고, PIAS 엔터테인먼트 그룹에 인수되어 다양한 수상 경력을 통해 음악적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 1898년 설립된 기업 - 펩시코
펩시코는 1965년 펩시콜라 컴퍼니와 프리토레이의 합병으로 설립된 미국의 다국적 식음료 기업으로, 펩시, 마운틴 듀, 게토레이, 도리토스, 레이즈 등 다양한 음료와 스낵 브랜드를 제조 및 판매하며 200여 개국에 진출해 있다. - 1898년 설립된 기업 - 르노
르노는 1898년 르노 형제가 설립한 프랑스 자동차 제조 회사로, 혁신적인 기술력과 성공적인 모델 출시, 닛산과의 얼라이언스를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전기차 개발 및 모빌리티 서비스 확장에 집중하고 있다. - 독일의 음반사 - MPS 레코드
MPS 레코드는 1968년 독일에서 설립된 재즈 전문 레코드 레이블로, SABA 레코드의 후신이며 다양한 국가의 재즈 아티스트 음반을 제작 및 발매했고, 여러 회사를 거쳐 현재는 에델 AG 소유이며 높은 녹음 품질과 앨범 디자인, 상세한 정보 제공이 특징이다. - 독일의 음반사 - ECM 레코드
ECM 레코드는 1969년 만프레트 아이허가 독일 뮌헨에 설립한 음반 레이블로, 재즈, 현대 음악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침묵 다음으로 가장 아름다운 소리"를 추구하는 음향 철학과 통일성 있는 음반 디자인으로 유명하다.
도이체 그라모폰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명 | Deutsche Grammophon |
설립일 | 1898년 12월 |
설립자 | 에밀 베를리너 |
장르 | 클래식 음악 현대 클래식 음악 |
본사 위치 | 독일 베를린 슈트랄라우어 알레 1 (Stralauer Allee 1, 10245 Berlin, Germany) |
웹사이트 | 도이체 그라모폰 공식 웹사이트 |
모회사 | |
모회사 | 유니버설 뮤직 그룹 (UMG) |
과거 모회사 | 영국의 그라모폰 (1898년-1941년) 지멘스 (1941년-1971년) 폴리그램 (1971년-1999년) 유니버설 뮤직 (1999년-2000년) 비벤디 (2000년-현재) |
유통 | |
유통사 | 데카 레코드 버브 레코드 (미국) |
2. 역사
도이체 그라모폰 게젤샤프트(Deutsche Grammophon Gesellschaft)는 1898년 독일 태생의 미국 시민이자 원반 레코드의 발명가인 에밀 베를리너가 자신의 베를리너 그라모폰사의 독일 지사로 설립한 회사이다.[3] 베를리너는 조카 조셉 샌더스를 미국에서 파견하여 사업을 시작하게 했다.[3] 회사는 설립자의 출생지인 하노버에 본사를 두었으며, 1900년에는 그라모폰 컴퍼니 유한회사의 완전 자회사이자 미국의 빅터 토킹 머신 컴퍼니의 계열사가 되었다. SP반 시대에는 카루소, 샬리아핀, 멜바 등 20세기 전반의 대표적인 성악가들을 보유하며 레퍼토리를 넓혔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1914년, 회사는 그라모폰 컴퍼니로부터 분리되었다.[4] 도이체 그라모폰은 그라모폰 컴퍼니 및 빅터와 더 이상 제휴하지 않았지만, 1940년대 후반까지 독일에서 강아지 니퍼가 등장하는 "His Master's Voice" 상표를 유지했다. 분리된 후 몇 년 동안, 회사는 심지어 그라모폰 컴퍼니와 빅터가 소유한 전쟁 전 매트릭스로 만들어진 녹음을 계속 판매하기도 했다.[5]
1941년, 도이체 그라모폰은 지멘스(Siemens & Halske)에 인수되어 독일 자본의 회사가 되었다.[6]
1941년, 도이체 그라모폰은 지멘스 & 할스케(Siemens & Halske)에 인수되었다.[4] 1949년, 도이체 그라모폰은 His Master's Voice 상표의 독일 권리를 EMI의 일렉트라 유닛에 매각했다.[6] 강아지와 축음기 로고는 지멘스 광고 컨설턴트 한스 도미츨라프가 디자인한 튤립 왕관으로 대체되었다.[7] 1962년, 지멘스는 필립스와 합작하여 DGG/PPI 레코드 그룹을 설립했고, 이는 1972년에 폴리그램 레코드가 되었다.
자회사 레이블 아카이브 프로덕션을 통해 서양 중세 및 르네상스 음악, 15-16세기 합창 다성음악, 그레고리오 성가등을 발굴하여, "역사적 악기"의 선구적인 사용과 녹음의 연주 관행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도이체 그라모폰은 주류 클래식 녹음을 발매하는 명성을 얻었지만, 1960년대부터 아방가르드 녹음(초기에는 Avant-Garde 임프린트에서)의 수를 늘렸으며, 여기에는 브루노 마데르나, 데이비드 베드포드, 코르넬리우스 카르듀, 루이지 노노 및 즉흥 연주가 포함되었다. 또한 작곡가가 녹음 권리를 구입하여 자신의 레이블로 재발매할 때까지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의 대부분의 작품을 발매했다. 이 레이블과 관련된 다른 독일 작곡가로는 파울 힌데미트와 한스 베르너 헨체가 있다.
1987년, 지멘스는 폴리그램에 대한 지분을 매각했고, 필립스가 최대 주주가 되었다.[4]
1987년, 지멘스는 폴리그램에 대한 지분을 매각하면서 음악 사업에서 철수했고, 필립스가 최대 주주가 되었다.[4] 1998년, 캐나다의 시그램 회사는 유니버설 뮤직 그룹 자회사를 통해 도이체 그라모폰과 폴리그램을 인수했다.[4] 이후, 유니버설 뮤직은 매각되어 2021년 9월 IPO가 있을 때까지 비벤디의 사업부가 되었다.[4]
도이체 그라모폰은 1983년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과 베를린 필하모닉이 연주한 클래식 음악을 CD로 발매하며, 새로운 매체 도입에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4] 첫 번째 CD 녹음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알프스 교향곡''이었다.[4]
2. 1. 설립과 초기 (1898년 ~ 1941년)
도이체 그라모폰 게젤샤프트(Deutsche Grammophon Gesellschaft)는 1898년 독일 태생의 미국 시민이자 원반 레코드의 발명가인 에밀 베를리너가 자신의 베를리너 그라모폰사의 독일 지사로 설립한 회사이다.[3] 베를리너는 조카 조셉 샌더스를 미국에서 파견하여 사업을 시작하게 했다.[3] 회사는 설립자의 출생지인 하노버에 본사를 두었으며, 1900년에는 그라모폰 컴퍼니 유한회사의 완전 자회사이자 미국의 빅터 토킹 머신 컴퍼니의 계열사가 되었다. SP반 시대에는 카루소, 샬리아핀, 멜바 등 20세기 전반의 대표적인 성악가들을 보유하며 레퍼토리를 넓혔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1914년, 회사는 그라모폰 컴퍼니로부터 분리되었다.[4] 도이체 그라모폰은 그라모폰 컴퍼니 및 빅터와 더 이상 제휴하지 않았지만, 1940년대 후반까지 독일에서 강아지 니퍼가 등장하는 "His Master's Voice" 상표를 유지했다. 분리된 후 몇 년 동안, 회사는 심지어 그라모폰 컴퍼니와 빅터가 소유한 전쟁 전 매트릭스로 만들어진 녹음을 계속 판매하기도 했다.[5]
1941년, 도이체 그라모폰은 지멘스(Siemens & Halske)에 인수되어 독일 자본의 회사가 되었다.[6] 1949년, 도이체 그라모폰은 His Master's Voice 상표의 독일 권리를 EMI의 일렉트라 유닛에 매각했다.[6] 강아지와 축음기는 지멘스 광고 컨설턴트 한스 도미츨라프가 디자인한 튤립 왕관으로 대체되었다.[7]
2. 2. 지멘스 인수와 성장 (1941년 ~ 1987년)
1941년, 도이체 그라모폰은 지멘스 & 할스케(Siemens & Halske)에 인수되었다.[4] 1949년, 도이체 그라모폰은 His Master's Voice 상표의 독일 권리를 EMI의 일렉트라 유닛에 매각했다.[6] 강아지와 축음기 로고는 지멘스 광고 컨설턴트 한스 도미츨라프가 디자인한 튤립 왕관으로 대체되었다.[7] 1962년, 지멘스는 필립스와 합작하여 DGG/PPI 레코드 그룹을 설립했고, 이는 1972년에 폴리그램 레코드가 되었다.자회사 레이블 아카이브 프로덕션을 통해 서양 중세 및 르네상스 음악, 15-16세기 합창 다성음악, 그레고리오 성가등을 발굴하여, "역사적 악기"의 선구적인 사용과 녹음의 연주 관행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도이체 그라모폰은 주류 클래식 녹음을 발매하는 명성을 얻었지만, 1960년대부터 아방가르드 녹음(초기에는 Avant-Garde 임프린트에서)의 수를 늘렸으며, 여기에는 브루노 마데르나, 데이비드 베드포드, 코르넬리우스 카르듀, 루이지 노노 및 즉흥 연주가 포함되었다. 또한 작곡가가 녹음 권리를 구입하여 자신의 레이블로 재발매할 때까지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의 대부분의 작품을 발매했다. 이 레이블과 관련된 다른 독일 작곡가로는 파울 힌데미트와 한스 베르너 헨체가 있다.
1987년, 지멘스는 폴리그램에 대한 지분을 매각했고, 필립스가 최대 주주가 되었다.[4]
2. 3. 폴리그램과 유니버설 뮤직 그룹 (1987년 ~ 현재)
1987년, 지멘스는 폴리그램에 대한 지분을 매각하면서 음악 사업에서 철수했고, 필립스가 최대 주주가 되었다.[4] 1998년, 캐나다의 시그램 회사는 유니버설 뮤직 그룹 자회사를 통해 도이체 그라모폰과 폴리그램을 인수했다.[4] 이후, 유니버설 뮤직은 매각되어 2021년 9월 IPO가 있을 때까지 비벤디의 사업부가 되었다.[4]도이체 그라모폰은 1983년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과 베를린 필하모닉이 연주한 클래식 음악을 CD로 발매하며, 새로운 매체 도입에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4] 첫 번째 CD 녹음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알프스 교향곡''이었다.[4]
3. 레이블
그래모폰이 보유한 레이블은 도이체 그라모폰(DGG), 데카 레코드, 오아조리르, 아르히프(바로크 음악을 중심으로 하는 고음악 전문 레이블) 등이 있다. 폴리그램 산하에 있던 필립스 클래식스와 ECM도 마찬가지로 유니버설 뮤직 그룹 내에서 활동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일본 그래모폰이 판매를 담당했으나, 일본 빅터 음악 레코드 사업부 → 빅터 음악 산업 → 빅터 엔터테인먼트(현: JVC켄우드·빅터 엔터테인먼트)를 거쳐 1999년 이후에는 필립스(포노그램) 레코드와 함께 유니버설 뮤직 재팬이 판매하고 있다.
3. 1. 도이체 그라모폰 (DGG)
유니버설 뮤직 그룹 산하의 레이블인 도이체 그라모폰(DGG)은 데카 레코드, 오아조리르, 바로크 음악 전문 레이블인 아르히프 등을 보유하고 있다. 폴리그램 산하에 있던 필립스 클래식스와 ECM도 유니버설 뮤직 그룹 내에서 활동하고 있다.일본에서는 일본 그래모폰이 판매를 담당했으나, 빅터 엔터테인먼트를 거쳐 1999년 이후에는 필립스(포노그램) 레코드와 함께 유니버설 뮤직 재팬이 판매하고 있다.
3. 2. 아카이브 프로덕션 (Archiv Produktion)
도이체 그라모폰이 보유한 레이블 중 하나인 아르히프(Archiv Produktion)는 바로크 음악을 중심으로 하는 고음악 전문 레이블이다.3. 3. 데카 레코드 (Decca Records)
도이체 그라모폰이 보유한 레이블 중 하나는 데카 레코드이다. 유니버설 뮤직 그룹은 데카 레코드를 포함, 오아조리르와 아르히프(바로크 음악을 중심으로 하는 고음악 전문 레이블) 등을 소유하고 있다.3. 4. 기타 레이블
도이체 그라모폰(DGG) 외에도 데카 레코드, 오아조리르, 바로크 음악을 중심으로 하는 고음악 전문 레이블인 아르히프 등이 도이체 그라모폰 산하 레이블이다. 폴리그램 산하에 있던 필립스 클래식스와 ECM도 유니버설 뮤직 그룹에서 활동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일본 그래모폰이 판매를 담당했으나, JVC켄우드·빅터 엔터테인먼트를 거쳐 1999년 이후에는 필립스(포노그램) 레코드와 함께 유니버설 뮤직 재팬이 판매하고 있다.4. 주요 아티스트
클라우디오 아바도, 다니엘 바렌보임, 레너드 번스타인, 칼 뵘, 피에르 불레즈, 정명훈, 구스타보 두다멜, 페렌츠 프리차이,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존 엘리엇 가디너, 라인하르트 괴벨,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야쿠프 흐루샤, 오이겐 요훔,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카를로스 클라이버, 라파엘 쿠벨릭, 제임스 레바인, 크리스티안 머첼라루, 이고르 마르케비치, 주빈 메타, 안드리스 넬손스, 박혜상, 트레버 피노크, 미하일 플레트네프, 야닉 네제-세갱, 카를 리히터, 윌리엄 스타인버그, 크리스티안 틸레만, 유 롱, 오자와 세이지, 이반 피셔, 에사-페카 살로넨, 주세페 시노폴리,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니시모토 토모미, 다니엘 하딩, 폴 맥크리시, 마르크 민코프스키, 예브게니 므라빈스키, 페르디난트 라이트너등이 도이체 그라모폰과 함께 작업한 주요 지휘자들이다.
4. 1. 지휘자
클라우디오 아바도, 다니엘 바렌보임, 레너드 번스타인, 칼 뵘, 피에르 불레즈, 정명훈, 구스타보 두다멜, 페렌츠 프리차이,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존 엘리엇 가디너, 라인하르트 괴벨,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야쿠프 흐루샤, 오이겐 요훔,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카를로스 클라이버, 라파엘 쿠벨릭, 제임스 레바인, 크리스티안 머첼라루, 이고르 마르케비치, 주빈 메타, 안드리스 넬손스, 박혜상, 트레버 피노크, 미하일 플레트네프, 야닉 네제-세갱, 카를 리히터, 윌리엄 스타인버그, 크리스티안 틸레만, 유 롱, 오자와 세이지, 이반 피셔, 에사-페카 살로넨, 주세페 시노폴리,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니시모토 토모미, 다니엘 하딩, 폴 맥크리시, 마르크 민코프스키, 예브게니 므라빈스키, 페르디난트 라이트너등이 도이체 그라모폰과 함께 작업한 주요 지휘자들이다.4. 2. 오케스트라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 베를린 방송 교향악단,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베를린 필하모닉, 유럽 실내 관현악단,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콘체르토 쾰른,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잉글리시 바로크 솔리스트, 잉글리시 콘서트, 레닌그라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무지카 안티콰 쾰른, 뉴욕 필하모닉, 프랑스 국립 관현악단, 혁명과 낭만주의 오케스트라, 오르페우스 실내 관현악단,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빈 필하모닉 등의 오케스트라와 계약을 맺고 음반을 발매했다. 이 외에도 베를린 슈타츠카펠레, 뮌헨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바이에른 국립 오케스트라, 암스테르담 콘세르트헤보우 오케스트라, 밀라노 스칼라좌 오케스트라, BBC 교향악단, 마린스키 극장 관현악단,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교향악단,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오케스트라, 앙상블 앵테르콩탱포랭, 굴벤키안 오케스트라 등과도 음반 작업을 진행했다.4. 3. 기악 연주자
도이체 그라모폰에는 여러 기악 연주자들이 소속되어 활동했다.피아니스트로는 마르타 아르헤리치, 조성진, 빌헬름 켐프, 피에르-로랑 에마르, 게자 안다, 라파우 블레하츠, 루돌프 부흐빈더, 당 타이 손, 크리스토프 에셴바흐, 프리드리히 굴다, 엘렌 그리모, 클라라 하스킬,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발터 기제킹, 에밀 길렐스, 예프게니 키신, 랑랑, 유자 왕, 브루스 류, 얀 리시에츠키,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비킹구르 올라프손, 알리스 사라 오트, 머레이 페라이어, 마리아 조앙 피레스, 메나헴 프레슬러, 이보 포고렐리치, 마우리치오 폴리니, 앙드레 프레빈, 막스 리히터, 스비아토슬라프 리흐테르, 프란체스코 트리스타노 쉴리메, 루돌프 제르킨, 그리고리 소콜로프, 다닐 트리포노프, 아나톨 우고르스키, 알렉시스 와이센베르크, 잉골프 분더, 크리스티안 지메르만 등이 있다.
바이올리니스트로는 기돈 크레머, 안네-조피 무터, 유리 바슈메트, 리사 바티아슈빌리, 르노 카퓌송, 마리아 두에냐스, 조슈아 엡스타인, 크리스티앙 페라스, 데이비드 가렛, 라인하르트 괴벨, 힐러리 한, 다니엘 호프, 김봄소리, 다니엘 로자코비치, 나단 밀스타인, 미하일 시모니안, 슐로모 민츠, 아이작 펄먼, 네마냐 라두로비치, 바딤 레핀, 볼프강 슈나이더한, 길 샤함, 에스더 유, 핀커스 주커만 등이 있다.
첼리스트로는 미샤 마이스키,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피에르 푸르니에, 트룰스 뫼르크, 지크프리트 팔름, 키안 솔타니 등이 있다.
트럼펫 연주자로는 모리스 앙드레, 필립 존스, 아돌프 허세스, 윈턴 마살리스, 라파엘 멘데스, 필립 스미스, 피에르 티보 등이 있다.
이 외에도 기타리스트 나르시소 예페스, 시타르 연주자 라비 샹카르, 목관 5중주단 앙상블 빈-베를린 등이 도이체 그라모폰에서 활동했다.
4. 4. 성악가
일다르 압드라자코프, 로베르토 알라냐, 에토레 바스티아니니, 캐슬린 배틀, 벤자민 베른하임, 그레이스 범브리, 몽세라 카바예, 일데브란도 다르칸젤로, 디트리히 피셔-디스카우, 플라시도 도밍고, 오랄리아 도밍게스, 프랑코 파졸리, 줄리 푸크스, 엘리나 가랑차, 마티아스 괴르네, 군둘라 야노비츠, 지크프리트 예루잘렘, 마그달레나 코제나, 에디트 마티스, 욜란다 메네구처, 안나 네트레브코, 제시 노먼, 안네 소피 폰 오터, 르네 파페, 파트리치아 페티본, 안나 프로하스카, 토마스 크바스토프, 크리스틴 셰퍼, 페터 슈라이어, 레오폴트 시모노, 안토니에타 스텔라, 리타 슈트라이히, 체릴 스투더, 브린 터펠, 조나단 테텔만, 카미유 토마, 게르하르트 운거, 롤란도 빌라손, 프리츠 분덜리히, 테레사 젤리스-가라등이 도이체 그라모폰과 계약한 성악가들이다.4. 5. 앙상블
아마데우스 사중주단, 에머슨 현악 사중주단, 하겐 사중주단 등 여러 실내 앙상블들이 도이체 그라모폰과 함께 작업했다.5. 한국과의 관계
5. 1. 한국 음반 발매
5. 2. 한국인 아티스트
도이체 그라모폰에는 여러 한국인 아티스트들이 참여했다. 지휘자 정명훈, 피아니스트 조성진, 소프라노 박혜상, 바이올리니스트 김봄소리 등이 도이체 그라모폰에서 활동한 대표적인 한국인 아티스트이다.6. 카탈로그 시리즈
도이체 그라모폰은 다양한 카탈로그 시리즈를 발매해왔다. 주요 시리즈로는 100주년 잘츠부르크 페스티벌, 20/21, 아르히프 프로덕션(고음악 및 바로크 음악), 베토벤 전집, 카라얀 골드, 모차르트 225 전집 (데카와 함께, 200 CD 세트) 등이 있다.
이 외에도, 그랑프리(그랑프리 뒤 디스크 수상자), 카라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레너드 번스타인 컬렉션, 빌헬름 켐프 에디션등 다양한 시리즈들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ecca Records
http://www.decca.com[...]
2013-04-05
[2]
서적
Billboard –
https://archive.org/[...]
Nielsen Business Media
1973-09-15
[3]
서적
Who's who in the nation's capital
[4]
서적
Since Records Began: EMI The First 100 Years
Batsford
1997
[5]
웹사이트
Grammophon 78 RPM – Label Discography – Germany – 78 RPM World
http://www.45worlds.[...]
[6]
웹사이트
DG History: The Fifth Decade (1940–1949)
http://history.deuts[...]
2016-10-29
[7]
웹사이트
About us – Chronicle
http://www.emil-berl[...]
Emil Berliner Studios
2015-04-07
[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DG Logos
https://artsandcultu[...]
[9]
웹사이트
DG signs Long Yu and the Shanghai Symphony Orchestra
https://www.gramopho[...]
2018-06-07
[10]
웹사이트
Deutsche Grammophon Announces Exclusive Recording Contract with Yannick Nézet-Séguin
https://theviolincha[...]
2018-05-31
[11]
웹사이트
Max Richter Recomposes Vivaldi's Four Seasons
https://ra.co/news/1[...]
2022-06-29
[12]
웹사이트
Herbert recomposes Mahler
https://ra.co/news/1[...]
2022-06-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